Bibliographic record and links to related information available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catalog
Note: Table of contents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.
목차 머리말 = 5 제1편 NGO와 시민사회의 개념 = 13 제1장 비정부기구 = 14 Ⅰ. 비정부기구의 기준 = 14 Ⅱ. 비정부기구의 개념 = 15 Ⅲ. 비정부기구의 등장배경 = 16 Ⅳ. 국가, 시장, 시민사회 삼분법적 접근 = 20 Ⅴ. 지구시민사회의 형성 = 24 제2장 시민사회의 개념의 변화 = 38 Ⅰ. 고전적 시민사회의 개념 = 38 Ⅱ. 계몽주의적 시민사회의 개념 = 38 Ⅲ. 마르크스적 시민사회 개념 = 43 Ⅳ. 토크빌의 결사적 시민사회 = 46 Ⅴ. 바버의 강한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= 48 Ⅵ. 에드워즈의 공공영역으로서 시민사회 = 52 Ⅶ. 한국적 시민사회 개념 = 62 제3장 그람시의 국가, 시민사회 = 66 Ⅰ.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와 그람시의 등장 = 66 Ⅱ. 그람시의 시민사회의 구조 = 67 Ⅲ. 그람시의 헤게모니와 국가 = 70 Ⅳ. 급진적 변혁의 과정 = 74 제4장 하버마스의 토의민주주의와 시민사회 = 79 Ⅰ. 토의민주주의 = 79 Ⅱ. 의사소통적 권력과 행정적 권력 = 81 Ⅲ. 의사소통적 권력과 법 = 82 Ⅳ. 공공영역과 토의민주주의 = 86 Ⅴ. 공공영역으로서의 시민사회 = 91 제5장 사회적 자본과 시민사회 = 94 Ⅰ. 사회적 자본의 개념 = 94 Ⅱ. 사회적 자본의 종류 = 96 Ⅲ. 사회적 자본의 주요 속성과 기능 = 96 Ⅳ.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과 제도적 성공 = 98 Ⅴ.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비판 = 110 제2편 NGO와 한국 시민사회운동 = 125 제6장 '뉴 거버넌스'의 문명국가 건설 = 126 Ⅰ. 시작하는 말 = 126 Ⅱ. 개화기 정치개혁 논의 = 128 Ⅲ. '뉴 거버넌스'형성: 조선적 민주주의 = 140 Ⅳ. 군민공치 질서체제 = 158 Ⅴ. 결론-거버넌스로서의 타당성과 현대에 주는 함의 = 162 제7장 민주화 이후의 한국 시민사회 = 169 Ⅰ. 문제 제기 = 169 Ⅱ. 이론과 방법 = 170 Ⅲ. 한국 시민사회단체운동의 발달 = 175 Ⅳ. 한국 시민사회단체운동의 특성 = 180 Ⅴ. 한국 시민사회단체운동의 방향과 원리 = 185 Ⅵ. 결론 = 192 제8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헌 = 196 Ⅰ. 기업의 사회적 책임 = 196 Ⅱ.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와 반대급부 = 197 Ⅲ.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론과 연구 = 200 Ⅳ. 사회적 기업과 활성화 = 209 Ⅴ.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에 장애요인 = 221 Ⅵ.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과 기업이윤 창출과의 상관관계 = 223 제9장 효율적인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문제점과 과제 = 232 Ⅰ. 문제의 제기 = 232 Ⅱ. 참여정부 정책의 문제점 = 234 Ⅲ. 이명박 정부의 과제 = 241 Ⅳ. 결론 = 253 제10장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새로운 과제 = 257 Ⅰ. 문제의 제기 = 257 Ⅱ. 시민사회의 구성요소 = 260 Ⅲ. 한국 시민사회의 특색과 문제점 = 269 Ⅳ.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= 274 Ⅴ. 결론 = 282 제3편 NGO와 지역사회의 이해 = 287 제11장 지역사회의 이해 = 288 Ⅰ. 지역사회란 = 288 Ⅱ. 지역사회의 주민참여 = 289 Ⅲ. 지역사회의 정치문화 = 293 Ⅳ. 지역사회의 이익단체 = 299 제12장 지역혁신체제와 NGO의 역할 = 307 Ⅰ.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이론과 실천 = 307 Ⅱ. 균형발전의 패러다임의 변화 = 308 Ⅲ. 지역혁신체제와 NGO = 311 Ⅳ. 지역 NGO의 역할의 문제점과 한계 = 319 제13장 지역주민운동의 동향과 과제 = 322 Ⅰ. 최근 주민운동의 동향 = 322 Ⅱ. 주민참정권과 지방권력 감시활동 = 325 Ⅲ. 생활자치와 지역공동체 운동 = 328 Ⅳ. 지역주민운동의 과제 = 343 제14장 지역자치역량 참여 거버넌스의 형성 = 348 Ⅰ. 서론 = 348 Ⅱ. 거버넌스의 형성조건과 유형 = 350 Ⅲ. 자치역량참여 거버넌스 형성의 선행연구 = 354 Ⅳ. 한국의 자치역량참여 거버넌스의 경험적 사례 = 362 Ⅴ. 결론 = 38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