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ibliographic record and links to related information available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catalog
Note: Table of contents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.
목차 책머리에 쓰는 글 태종대 후반 수도 정비와 의미 / 장지연 1. 머리말 = 15 2. 前代 건축물의 移轉 및 改築 = 18 3. 새로운 공간의 건설 = 34 4. 수도 정비의 성격과 의미 = 44 行實圖 圖版의 의미와 二倫行實圖 圖版 분석 / 이광렬 1. 머리말 = 48 2. 이륜행실도의 편찬 배경과 제작 경위 = 52 3. 이륜행실도의 판본과 체재 = 56 4. '行實圖'에서 版畵의 위치와 이륜행실도 = 65 5. 이륜행실도의 양식과 그 변천 = 72 6. 맺음말 - 오륜행실도로의 변화 = 79 조선본 『朱子大全』의 간행과 활용 / 김문식 1. 머리말 = 83 2. 중국본 『주자대전』의 수입 = 84 3. 조선본 『주자대전』의 간행 = 87 4. 조선본 『주자대전』의 특징 = 95 5. 조선본 『주자대전』의 활용 = 101 6. 맺음말 = 108 조선시대 동구릉의 조성 과정에 관한 연구 / 신병주 1. 머리말 = 111 2. 健元陵의 조성 과정 = 113 3. 顯陵의 조성 과정 = 116 4. 穆陵의 조성 과정 = 117 5. 徽陵의 조성 과정 = 120 6. 崇陵의 조성 과정 = 121 7. 惠陵의 조성 과정 = 123 8. 元陵의 조성 과정 = 124 9. 綏陵의 조성 과정 = 131 10. 景陵의 조성 과정 = 133 11. 맺음말 = 141 조선 왕실의 혼전 / 이현진 1. 머리말 = 144 2. 혼전의 개념과 혼전의 결정 과정 = 146 3. 혼전에서 거행하는 정례적ㆍ비정례적 의례와 제반 기능 = 157 4. 맺음말 = 173 肅宗~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『社稷署儀軌』 편찬 - 규장각 소장 『社稷署儀軌』를 중심으로 / 강문식 1. 머리말 = 178 2. 肅宗~英祖代 社稷 제도의 정비 = 180 3. 正祖代 『社稷署儀軌』 편찬과 祈穀祭 강화 = 194 4. 맺음말 = 205 肅宗代 초반 臣强說과 그 정치적 파장 / 배우성 1. 머리말 = 206 2. 臣强說의 發端 = 208 3. 庚申大黜陟과 臣强說 = 215 4. 己巳換局 이후의 反轉과 再反轉 = 222 5. 맺음말 = 228 영조대 탕평 정치에서 辛壬義理와 '國是' 문제 / 최성환 1. 머리말 = 233 2. '國是'의 개념과 정치세력의 의리론 = 235 3. 辛壬義理와 『大訓 』ㆍ『闡義昭鑑』의 國是 = 242 4. 맺음말 = 258 英祖代 儀禮와 行次 그리고 기억 / 김지영 1. 머리말 = 261 2. 용흥구궁의 재발견 - 어의궁, 어의동본궁, 송현궁, 수진궁 = 266 3. 옛 궁궐 터의 정비와 활용 - 경복궁, 경운궁 = 279 4. 선대 사적지에의 행차와 기념 = 286 5. 맺음말 = 295 조선후기 開城 潛邸舊基의 표장과 국왕의 인식 - 숙종ㆍ영조대를 중심으로 / 윤정 1. 머리말 = 297 2. 開城 潛邸의 연혁과 舊基의 상황 = 300 3. 潛邸 舊基의 표장과 국왕의 인식 = 309 4. 맺음말 = 321 영조의 『소학』 교육 강화와 지향 / 이정민 1. 머리말 = 324 2. 왕세자ㆍ왕세손에 대한 『소학』 교육과 家法의 강조 = 326 3. 동몽에 대한 『소학』 교육과 『소학』 윤리 = 338 4. 맺음말 = 350 『列聖誌狀通紀』를 통해 본 조선후기 王道政治 / 김태훈 1. 머리말 = 353 2. 자료의 개관과 현황 = 356 3. 『列聖誌狀通紀』에 나타난 王道政治 = 365 4. 맺음말 = 385 奎章閣의 지식기반사회적 의의와 동아시아문화 / 정옥자 1. 머리말 = 388 2. 규장각-文治主義의 제도적 장치 = 390 3. 규장각의 서적 수집ㆍ편찬사업 - 「群書標記」를 중심으로 = 394 4. 동아시아문화 속의 조선후기사회 - 朝鮮中華思想 = 398 5. 맺음말 = 402 찾아보기 = 416 </vol> <vol>하 <count> 목차 김종직 문인 그룹에 대한 연구 / 송웅섭 1. 문제 제기 = 11 2. 누가 김종직의 문인인가? = 16 3. 문하에서 수학하게 된 계기 = 24 4. 출신 배경 = 36 5. 맺음말 - 더욱 실증적인 연구를 기대하며 = 44 임진왜란 시기 決戰 여부를 둘러싼 朝明 갈등 / 한명기 1. 머리말 = 55 2. 明軍 지휘부의 講和 추진과 그 배경 = 58 3. 명의 決戰 회피에 대한 조선의 대응 = 65 4. 決戰 회피의 귀결과 평가 문제 = 71 5. 맺음말 = 77 仁祖의 公論 인식과 정국 운영 - 元宗 追崇 논란을 중심으로 / 김경래 1. 머리말 = 80 2. 추숭 반대 공론의 제기 = 84 3. 인조의 공론 부정과 그 논리 = 92 4. 원종 추숭과 '天下公論' = 99 5. 맺음말 = 102 澤堂 李植의 文學論과 道統意識 / 오세현 1. 머리말 = 106 2. 文學論 = 110 3. 道統意識 = 123 4. 맺음말 = 138 尤庵 宋時烈의 褒貶論 / 우경섭 1. 머리말 = 140 2. 義理論的 褒貶論의 제기 = 141 3. 義理論的 褒貶論의 현실화 = 146 4. 맺음말 = 168 草廬 李惟泰의 家系와 山林活動 / 지두환 1. 머리말 = 172 2. 家系와 學風 = 174 3. 山林活動 = 183 4. 맺음말 = 197 안동 김문 '六昌'의 정치, 學藝 활동 / 이경구 1. 머리말 = 199 2. 六昌의 생애 = 201 3. 정치, 老論義理의 실현 = 207 4. 학문, 朱子學의 확대와 심화 = 213 5. 문예, 朝鮮中華의 구현 = 218 6. 맺음말 = 223 17세기 후반~18세기 초반 少論의 정치세력 형성 및 학문 동향 - 崔錫鼎을 중심으로 / 이희중 1. 머리말 = 225 2. 少論의 정치 기반과 崔錫鼎의 활동 = 229 3. 朱子性理學 위주의 학문 기준에 대한 재론 = 246 4. 맺음말 = 256 雜錄을 통해 본 소수서원 - 『雲院雜錄』ㆍ『雜錄』ㆍ『講所雜錄』을 중심으로 / 노대환 1. 머리말 = 259 2. 소수서원 잡록류와 『雲院雜錄』ㆍ『雜錄』ㆍ『講所雜錄』 = 261 3. 잡록을 통해 본 소수서원의 실상 = 272 4. 맺음말 = 284 正祖의 韓國仙道 인식과 檀君의 위상 제고 / 정경희 1. 머리말 = 286 2. 肅宗ㆍ英祖의 箕子 존숭과 檀君 인식의 변화 = 289 3. 正祖의 韓國仙道 인식과 檀君의 위상 제고 = 303 4. 맺음말 = 318 則止軒 兪彦鎬의 學藝와 정치 / 유봉학 1. 머리말 = 321 2. 문벌 배경과 학예 = 324 3. 정치 행로와 역할 = 336 4. 맺음말 = 346 晩齋 金世均의 삶과 생각 / 연갑수 1. 머리말 = 350 2. 김세균의 가계와 젊은 시절 = 353 3. 실무적 관료 능력의 배양(1841~1863) = 360 4. 흥선대원군 집권기(1864~1874) 정치개혁과 김세균의 생각 = 367 5. 말년의 김세균과 그의 일본에 대한 태도 = 374 6. 맺음말 = 382 조선시대 마지막 山林 宋秉璿의 학문과 사상, 그리고 실천 / 노관범 1. 머리말 = 385 2. 송병선의 가계와 학통 = 388 3. 송병선의 저술 활동과 학문 = 394 4. 송병선의 언론 활동과 사상 = 400 5. 을사늑약에 대한 저항과 殉國 = 406 6. 맺음말 = 413 개항기 東道西器論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/ 민회수 1. 머리말 = 417 2. 東道西器論의 개념과 연구 동향 = 419 3. 중국ㆍ일본의 서구문물 수용 논리; 中體西用論ㆍ和魂洋才論 = 423 4. 조선의 東道西器論과 개화파 = 430 5. 개항기 東道西器論의 성격과 역사적 의의 = 441 6. 맺음말 = 445 간행후기 = 447 찾아보기 = 45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