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ibliographic record and links to related information available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catalog
Note: Table of contents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.
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
지은이: 이경록
책머리에 = 5
Ⅰ. 서론 = 17
1. 연구 현황 = 17
2. 연구 방향 = 32
Ⅱ. 고려시대 의료제도의 배경 = 39
1. 신라의 의료 상황 = 39
1)「신라촌락문서」와 신라인의 삶 = 39
2) 신라 중ㆍ하대의 질병 대응 양상 = 45
3) 당 의학의 유입 = 50
2. 삼국의 의술과 고대 동아시아의료 = 56
1) 삼국의 의서에 나타난 의술 = 56
2) 고대 동아시아의료의 구조 = 62
3. 중국 의료제도의 변천 = 67
1) 수ㆍ당의 의료제도 = 67
2) 송의 의료제도 = 76
Ⅲ. 중앙집권적 의료제도의 성립 = 85
1. 중앙의료제도의 등장 = 85
1) 광종대 의료제도의 구축 = 86
(1) 의업의 실시 = 86
(2) 상의원의 운영 = 90
(3) 대민구료의 시작 : 제위보 = 93
2) 성종대 의료제도의 확대 = 101
(1) 태의감과 상약국의 분화 = 101
(2) 의학박사 파견과 외관출관의 = 104
(3) 대민구료의 확충 : 의창과 향례 = 106
2. 지방의료제도의 정비 = 114
1) 의관 파견과 약점사 배정 = 114
(1) 성종대 의학박사 파견과 의사 배치 = 114
(2) 현종대 의사와 약점사의 이원구조 형성 = 121
2) 의직의 세분화와 약점사로의 일원화 = 131
(1) 문종대 의학 배치와 약점사의 세분화 = 131
(2) 예종대 약점사로의 일반화 = 136
3. 대민의료정책과 지배체제 = 141
1) 대민의료기구의 운영 = 141
(1) 제위보 = 143
(2) 동서대비원 = 143
(3) 혜민국 = 145
2) 의료의 사회적 기능과 대민지배체제 = 153
(1) 안집정책 : 권농과 존휼 = 153
(2) 부렴정책 : 수조와 취렴 = 165
Ⅳ. 의료제도의 발전과 의료의 활성화 = 175
1. 의료관제의 변동과 의료인 육성 = 175
1) 의직 운용의 추이 = 175
2) 중앙의료기구의 운영 = 182
(1) 태의감 = 182
(2) 상약국 = 193
3) 의업의 전개와 의학교육 = 199
(1) 의업의 경과와 응시자격의 변동 = 199
(2) 간행 의서들과 의업 교과목 = 209
2. 의료 환경의 변화 = 217
1) 약재의 증가와 수취구조 = 217
2) 민간의 약재 유통과 치료의 대중화 = 228
3) 송 의학의 유입 = 233
Ⅴ. '향약'의 성장과 의료사적 의의 = 253
1. '향약'에 대한 자각 = 253
1)『제중입효방』과 치료의 일상화 = 253
2)『신집어의촬요방』과 송 의학의 수용 = 260
(1)『신집어의촬요방』의 편찬 = 260
(2)『신집어의촬요방』의 지향 = 265
(3)『신집어의촬요방』과 송 의학의 영향 = 273
2. '향약론'의 전개 = 283
1)『향약구급방』과 향약의 활용 = 283
(1)『향약구급방』의 간행 = 283
(2)『향약구급방』의 체재 = 291
(3)『향약구급방』의 임상적 가치 = 297
(4)『향약구급방』과 향약의 자주성 = 304
2)『비예백요방』과 향약론의 구조 = 313
(1)『비예백요방』의 복원 = 313
(2)『비예백요방』과 의술의 발전 = 318
(3)『비예백요방』의 향약론과 그 의의 = 324
Ⅵ. 결론 = 335
참고문헌 = 341
부록
〈부록 1〉신라의 교역약재 일람표 = 353
〈부록 2〉고려의 토산약재 일람표 = 355
〈부록 3〉『신집어의촬요방』의 처방 약재 일람표 = 358
〈부록 4〉『향약구급방』의 처방 약재 일람표 = 367
ABSTRACT = 373
찾아보기 = 379